스마트팜 썸네일형 리스트형 [아두이노/ESP32] 스마트팜 : 어두운 날 스마트하게 광합성 하는 법_네오픽셀 편 안녕하세요. 메이크잇나우(Make It Now) 입니다 :) 스마트 팜 그 세번째 시간입니다. 오늘도 식물을 가장 완벽하게 키우는 방법을 알려드릴께요. 이번시간에는 NeoPixel을 활용하여 언제든지 식물 광합성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보겠습니다 :) ■ STEP 1 : 넥오픽셀과 스마트 팜 스마트 팜 에서는 식물이 가장 잘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최소한의 시간으로 최적의 효율을 이끌어 냅니다. 대체로 조도, 습도, 온도를 기본으로 관리하며 추가로 영양분이나 CO2 농도 등을 통해 식물을 관리하는데, 이 관리들의 목적은 광합성에서 최적의 효율을 내기 위함입니다. 그렇다면, 이 중에 빛은 어떻게 관리할까요? 식물이 광합성을 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부분이 빛인데, 일반적인 형광등은 자연광과 많이 다르.. 더보기 [아두이노/ESP32] 스마트팜 : 흐린 날 식물 광합성 시키기_조도 편 안녕하세요. 메이크잇나우(Make It Now) 입니다 :) 스마트 팜 다뤄보기 그 두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시간에는 조도 센서를 활용하여 어두운날에도 광합성을 할 수있는 시스템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 ■ STEP 1 : 식물을 잘 키우려면 무엇을 관리해야 할까? 식물이 생장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 광합성 입니다. 이러한 광합성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해주어야 식물이 건강하게 잘 자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무엇을 관리해 주어야 식물이 잘 자랄까요? 1. 빛의 양과 질 : 빛의 양이 많을수록, 빛의 파장이 흡수 스펙트럼과 일치할수록 광합성이 높아집니다. (식물은 청색과 적색에서 광합성 효율이 극대화 된다.) 2. 온도 : 광합성은 일정한 온도범위에서 최대치의 효율을 나타내며, 평균 20-2.. 더보기 [아두이노/ESP32] 스마트팜 : 식물생장 LED 앱에서 제어하기_버튼 편 안녕하세요. 메이크잇나우(Make It Now) 입니다 :) 지난시간까지 스마트시티를 전체적으로 다뤄보면서 마무리를 잘 하고 이제 스마트 팜으로 넘어왔습니다!! 스마트팜은 총 6개의 챕터로 식물을 키우는데 가장 필요한 센서들과 그 센서들을 최적의 방식으로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스마트 시티와 중복되는 센서들도 있지만, 전혀 다르게 사용이 된다는 점!! 확인하시면서 오늘도 다같이 배워보아요. 스마트팜 그 첫번째 시간으로 식물생장 LED를 앱을 통해 제어하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 ■ STEP 1 : 자동으로 불을 켜고 끄는 방법 스마트 라는 단어에 맞게 불을 켜거나 끌 수 있어야 합니다. 물론 그 전에 버튼을 통해 불을 켜고 끄는게 먼저겠죠. 기본적으로 버튼을 통한 on/off.. 더보기 [아두이노/ESP32] 스마트시티 : 마스크를 써야 할까? 말아야 할까?_미세먼지 센서편 안녕하세요. 메이크잇나우(Make It Now) 입니다 :) 20회차 정도로 기획을 하고 있는데, 벌써 열 한번째 시간이 되었네요. ESP32로 AIOT 까지 다뤄 보는것이 끝나면, 파이썬과 블럭코딩으로도 다뤄보는 강의가 이어질거예요. 그때까지 다같이 차근차근 따라해 보세요 :) 이번 시간에는 미세먼지 센서를 사용하여 외출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시스템 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 ■ STEP 1 : 스마트시티에서는 미세먼지에 어떻게 대처할까? 요즘 가장 큰 문제가 되고 있는것이 미세먼지죠. 흔히들 중국발 미세먼지라고 하는데, 특히 오늘 뉴스에서 나온 중국의 상황은 더욱 심각합니다. 이럴 때일수록 날이 화창하더라도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 스마트시티가 만들어지는 이유중의 하나가 이런 대기질 오염.. 더보기 [아두이노/ESP32] 스마트시티 : 환기 타이밍을 알려주는 장치?_온습도편 안녕하세요. 메이크잇나우(Make It Now) 입니다 :) 이번 시간에는 온습도센서를 통해 쾌적한 생활 환경을 만들도록 해보겠습니다. ■ STEP 1 : 스마트시티에서는 공기질을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살면서 쾌적하다고 느끼는 가장 큰 척도가 되는것은 바로 공기 질이죠. 특히 COVID-19 로 인해 많은 불편을 겪었기에 더욱이 쾌적한 환경에 대한 갈망이 클 것입니다. 공기질이 좋다 나쁘다 라는건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1. 먼지센서 :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를 포함하여 먼지 농도를 측정 2. 가스센서 : 대기중의 다양한 가스(CO2,NO2,SO2,O3 등) 농도를 측정하는 센서 3. 온습도센서 : 공기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온도와 습도를 측정 4. 광센서 : 대기중 자외선 농도 및 대기 오염물질.. 더보기 [아두이노/ESP32] 스마트시티 : 비 오는 날 100% 우산을 챙기는 법_수위센서 편 안녕하세요. 메이크잇나우(Make It Now) 입니다 :) 기상과 환경을 주제로 하는 메이크잇나우 환경타워 그 두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수위센서를 활용하여 비가 오는지 확인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 ■ STEP 1 : 비가 오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사실 저는 창문을 통해 밖을 신경써서 보는 편이 아닙니다. 그러다 보니 아침에 집을 나가서야 비가 오는걸 알고 다시 들어와서 우산을 가져가는 일이 많았죠. 요즘에는 밖을 보지 않아도 비가 오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참 많죠. 뉴스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데, 이런 어플보다 더 쉽게 확인할 수 있는게 있습니다. 바로 수위센서를 활용하여 비가 오면 LED가 빨간색으로 바뀌게 만들어 주는거죠. 불빛의 색만.. 더보기 [아두이노/ESP32] 스마트시티 : 공간의 밝기는 어떻게 측정할까?_조도센서 편 안녕하세요. 메이크잇나우(Make It Now) 입니다 :) 오늘은 벌써 여덟번째 시간으로 생활공간의 밝기를 측정하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공간의 밝기정도에 따라 빛의 양을 조절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시스템을 만들어 볼께요 :) ■ STEP 1 : 공간의 밝기는 어떻게 측정할까? 어느 공간이던 빛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가끔은 빛이 너무 밝거나 혹은 너무 어두워서 불편했던 경험이 다들 있을실 것 같아요. 오늘은 이런 불편함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지 알아볼께요. 공간의 밝기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식들이 있습니다. 1. 조도센서 : 주변의 밝기를 측정하는 센서로 주로 조명이나 창문 근처에 설치되어 사용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에 따라 자동으로 조명을 제어하는데 많이 사용합니다. 2. 스.. 더보기 [아두이노/ESP32] 스마트시티 : 지진감지는 어떻게 할까?_진동센서편 안녕하세요. 메이크잇나우(Make It Now) 입니다 :) WiFi 가 가능한 ESP 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를 이용한 프로젝트들이 많이 만들어지고 있죠. 서버와의 통신이 가능해서 IoT 시스템을 만드는 분들 에게는 필수가 아닐까 싶습니다. 오늘은 그 세번째 시간으로 진동센서를 활용한 지진감지 시스템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 ■ STEP 1 : 스마트 시티에서는 내진 설계를 어떻게 할까? 내진설계는 지진 발생 시 건물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설계하는 것을 말합니다. 한국에서도 대지진대책법에 의해 내진설계가 의무화 되어있죠. 내진설계는 건물의 안전성 뿐만 아니라, 지진 발생 시에도 전기, 통신 등의 인프라 시설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스마트시티에서도 건물의 내진설계는 ..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