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메이크잇나우 입니다.
자체적으로 개발된 약 40여종의 센서를 활용하여
2022년 개정판이 적용된 초등학교 부터 고등학교 과학까지 디지털측정이 가능한 탐구실험들을
모두 디지털로 손쉽게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오늘은 초등학교 6학년 2학기 / 과학 / 2단원. 물질의 연소 / 초가 연소한 뒤 생기는 물질 실험을 하려고 합니다.
■ 실험에 필요한 장치
이산화탄소 센서는 이산화탄소(CO2) 뿐만 아니라 온도와 습도까지 측정이 가능한 센서입니다.
초와 이산화탄소를 같은 비커에 넣고, 초가 연소하고 난 뒤 센서의 값이 어떻게 변하는지 확인해 봅시다.
실험장치 : 헥사보드, CO2센서, 디스플레이(OLED)
준비물 : 초, 라이터(성냥)
ECO보드/헥사보드 이산화탄소 센서 CO2 연소화합물 (케이블포함) : 메이크잇나우
[메이크잇나우] 메이커 제품을 만날 수 있는 마켓입니다.
smartstore.naver.com
데이터 확인 : 이지블록스
Easy Blocks
블록코딩으로 간단하게 만드는 나만의 스마트 디바이스
easyblocks.kr
■ 실험장치 세팅하기
헥사보드와 이산화탄소(CO2) 센서를 연결하면 간단하게 사용할 준비가 완료 되었습니다.
<< 실험순서 >>
1. 기존 CO2센서의 값을 확인
2. 초에 불을 켜고 CO2센서와 함께 값을 측정(5초에 한번)
3. 초의 불이 꺼진 후 CO2센서의 변화값 확인
4. 해당 값을 그래프를 활용하여 나타내기
■ 데이터 측정하기
이지블록스에는 학년별, 단원별 실험할 수 있는 내용이 모두 예제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면 코딩을 몰라도 모든 실험을 디지털로 측정하실 수 있습니다.
1. 기존 CO2센서의 값을 확인
이산화탄소와 온도, 습도 값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OLED 디스플레이에 띄워줍니다.
실내 670ppm 정도니까 아직은 쾌적한 상태네요.
습도는 64%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실험을 진행해 보겠습니다.
2. 초에 불을 켜고 CO2센서와 함께 값을 측정(5초에 한번 측정)
실시간 그래프의 변화를 빠르게 확인하기 위해 5초에 한번씩 데이터를 측정하는것으로 하고,
밀폐된 공간에서 하는 측정이라 값이 비약적으로 상승할 수 있기때문에
일정 수치까지 데이터를 측정하고 실험을 멈추는 방향으로 진행해 보겠습니다.
실시간으로 OLED의 시간이 흐름과 동시에
값이 변하고, 이것이 데이터센터에 그래프로 표시가 됩니다.
(처음 버튼을 누를때 잘못 누르는 부분이 있습니다.)
3. 초의 불이 꺼진 후 CO2센서의 변화값 확인
초가 들어있는 비커를 여는 순간부터 급격하게 그래프가 꺽이는게 보이실 겁니다.
실제로 이산화탄소 수치는 불이 붙어있을때 보다 연소한 후에 급격한 변화를 나타냅니다.
이는 물질이 연소할 때 탄소(C)와 수소(H) 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데, 공기중의 O2와 만나서
CO2(이산화탄소) 와 H2O(물) 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온도는 거의 변화가 없지만, 습도와 이산화탄소는 급격하게 상승하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비커를 열어 환기를 했을때는 초가 타면서 나오는 연소화합물 보다 공기중의 공기가 훨씬 많아
큰 영향을 끼치지 못해 급격하기 제자리를 찾아가는것을 볼 수 있습니다.
어떠신가요?? 과학이 훨씬 재밌고 쉬워지셨나요??
다른 실험이 궁금하시거나, 해당 키트가 궁금하시다면 카카오톡 메이크잇나우 로 연락주세요 :)
MAKE IT NOW
디지털 교육을 위한 시작 SMART WORLD, HEXA BOARD, 지능형 과학실
pf.kakao.com
'메이커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과학] 초등 과학4-1_물의 상태변화_물이 얼 때 무게 비교 (2) | 2025.08.31 |
---|---|
[디지털과학] 초등과학3-1_힘과 우리 생활_물체의 무게 비교하기 (0) | 2025.08.31 |
[디지털과학] 고등2_물리1_전자기 유도와 페러데이 법칙(과학 실험) (1) | 2025.08.22 |
[디지털 과학] 보일의 법칙 (압력센서) (0) | 2025.07.11 |
[디지털 과학] 향초를 켜는 것은 정말 좋을까? (이산화탄소센서) (2) | 2025.07.10 |